- 노출 장면에서 CG설, 대역설이 나왔다
▲ 오늘만을 기다렸다. 이제 말씀드릴 수 있게 됐다. 작가님, 감독님과 말씀을 많이 나눴고 혜정이를 하기로 했을 때부터 정해져있던 신이다. 필요한 장면이라 생각했다. 극 중 가슴을 수술한 역할이다. 내가 그렇지 않기 때문에 (가슴 부분은) CG처리를 한건 맞다. 근데 내가 안 벗었다고 하기엔 내 몸이 다 나왔다. 대역분이 준비돼 있었고 CG도 준비돼 있었고 나도 준비돼 있었다. 후반 작업에서 심혈을 기울여서 필요한 부분을 가져다 쓰고 많은 작업이 이뤄졌다. 단순히 벗은 신이 아니라 많이 고민한 신이다. 욕조 신 뒷모습은 대역이 맞다. 셔츠 부분은 내 몸이고 CG를 입혔다.
- 완성된 장면을 본 소감은?
▲ 나 스스로에 대한 물음표인거다. 내가 살이 쪘고 내 기준에서 평소와 다른 몸으로 보여야 했다보니까 노출에 대한 부담이나 인물에 대한 부담은 없었으나 나 스스로 조금 더 만들어져서 나갔어야 하지 않았을까 그런 부분이 있었다.
- 그 부분이 유독 화제가 돼 아쉽진 않았나
▲ 우리는 필요한 작업을 했고 필요한 신에 필요한 역을 했다고 생각한다
- 대본을 보고 고민되거나 머뭇되는 지점은 없었나
▲ 없었다. 혜정이란 표현을 완성시켜주는 신이라 생각했다. 가진 건 몸 밖에 없던 혜정이고 친구들을 이긴 순간이 없는데 그 순간 만큼은 혜정이가 남부러울게 없었다. 찍을 때도 우리는 그 신에서 혜정이가 멋있다고 생각하면서 찍었다. 배려도 많이 받았다
- 앞서 '흰 원피스' 장면에서 준비한 의상이 아니라 감독이 원한 의상이 입어야 해 반대했다는 인터뷰를 했었는데
▲ 내가 한숨을 쉬었던건 나에 대한 한숨이다. 우리가 준비했던 의상과 여러 의상이 있었다. 입어보고 납득이 돼 입은거다. 혜정이를 보여줄 수 있는 완벽한 신이라 생각했다. 다만 내가 불어있는 내 몸에 대해 '너무 보시는 분들께 납득될까'에 대한 고민과 한숨이었다. 우리는 사라가 입을 법한 원피스이지 않을까 생각한 의상을 준비했다. 그 신에서 그런 사실적인 부분보다 혜정이란 인물을 표현해야 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에 합의됐다.
- 연필에 찔리는 장면이나 말을 못하는 장면도 힘들었을 것 같다
▲ 감독님과 대화를 많이 나눴다. 레퍼런스를 찾아봤다. 실제로 다치셔서 목소리를 못 내시는 분들을 참고해보려고 했는데 그런 케이스들이 다양하더라. 그 장면에서는 조금은 위트를 섞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감독님이 더 정확하게 알아듣게 소리를 내달라고 하셨다. 그 속에서도 몇번의 베리에이션이 있긴 했다. 대본엔 혜정이가 '아...응' 그런 식이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now/article/609/0000700794
▲ 오늘만을 기다렸다. 이제 말씀드릴 수 있게 됐다. 작가님, 감독님과 말씀을 많이 나눴고 혜정이를 하기로 했을 때부터 정해져있던 신이다. 필요한 장면이라 생각했다. 극 중 가슴을 수술한 역할이다. 내가 그렇지 않기 때문에 (가슴 부분은) CG처리를 한건 맞다. 근데 내가 안 벗었다고 하기엔 내 몸이 다 나왔다. 대역분이 준비돼 있었고 CG도 준비돼 있었고 나도 준비돼 있었다. 후반 작업에서 심혈을 기울여서 필요한 부분을 가져다 쓰고 많은 작업이 이뤄졌다. 단순히 벗은 신이 아니라 많이 고민한 신이다. 욕조 신 뒷모습은 대역이 맞다. 셔츠 부분은 내 몸이고 CG를 입혔다.
- 완성된 장면을 본 소감은?
▲ 나 스스로에 대한 물음표인거다. 내가 살이 쪘고 내 기준에서 평소와 다른 몸으로 보여야 했다보니까 노출에 대한 부담이나 인물에 대한 부담은 없었으나 나 스스로 조금 더 만들어져서 나갔어야 하지 않았을까 그런 부분이 있었다.
- 그 부분이 유독 화제가 돼 아쉽진 않았나
▲ 우리는 필요한 작업을 했고 필요한 신에 필요한 역을 했다고 생각한다
- 대본을 보고 고민되거나 머뭇되는 지점은 없었나
▲ 없었다. 혜정이란 표현을 완성시켜주는 신이라 생각했다. 가진 건 몸 밖에 없던 혜정이고 친구들을 이긴 순간이 없는데 그 순간 만큼은 혜정이가 남부러울게 없었다. 찍을 때도 우리는 그 신에서 혜정이가 멋있다고 생각하면서 찍었다. 배려도 많이 받았다
- 앞서 '흰 원피스' 장면에서 준비한 의상이 아니라 감독이 원한 의상이 입어야 해 반대했다는 인터뷰를 했었는데
▲ 내가 한숨을 쉬었던건 나에 대한 한숨이다. 우리가 준비했던 의상과 여러 의상이 있었다. 입어보고 납득이 돼 입은거다. 혜정이를 보여줄 수 있는 완벽한 신이라 생각했다. 다만 내가 불어있는 내 몸에 대해 '너무 보시는 분들께 납득될까'에 대한 고민과 한숨이었다. 우리는 사라가 입을 법한 원피스이지 않을까 생각한 의상을 준비했다. 그 신에서 그런 사실적인 부분보다 혜정이란 인물을 표현해야 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에 합의됐다.
- 연필에 찔리는 장면이나 말을 못하는 장면도 힘들었을 것 같다
▲ 감독님과 대화를 많이 나눴다. 레퍼런스를 찾아봤다. 실제로 다치셔서 목소리를 못 내시는 분들을 참고해보려고 했는데 그런 케이스들이 다양하더라. 그 장면에서는 조금은 위트를 섞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감독님이 더 정확하게 알아듣게 소리를 내달라고 하셨다. 그 속에서도 몇번의 베리에이션이 있긴 했다. 대본엔 혜정이가 '아...응' 그런 식이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now/article/609/0000700794
댓글
도서정가제 최악의 상황(가정이라고 함).jpg
1bang
7일전
尹대통령 "징용 문제 구상권행사 없다…日의 재무장도 용인"
1bang
7일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