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시니어존] 변화 앞에 헤매는 노인들... 다가올 미래를 위해, 사회가 풀어야할 숙제
코로나19 기간에 극장을 가지 못해 갑갑했다. 문화생활에 대한 갈증이 커지던 중, 얼마 전 좋아하는 가수의 콘서트 영화를 개봉한다길래 냉큼 예매했다.
앱에서 미리 예매한 덕에 좋은 좌석에 앉았다. 영상이 천장까지 뻗칠 때면 너나없이 흥이 솟았다. 여러 사람과 어울려 한 장면에서 같이 웃고 박수치는 상황이 새삼 뭉클했다.
"우리 90세에도 보러 오자."
상영이 끝난 후, 언니가 다짐하듯이 말했다. 그러려면 건강해야 하니 운동부터 하자고 내가 말했다. 극장 로비의 카페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데, 70대로 보이는 여성이 다가왔다.
"저기요, 영화표 좀 사줄 수 있어요? 내가 기계 사용법을 몰라서 그래요."
거기 직원이 없느냐고 묻자, 없다고 했다. 카운터에 문의했더니 본인이 직접 예매해야 한다고 했단다. 그 직원이 자리를 비울 수 없는 모양이었다. 나는 로비로 나갔다. 서너 대의 키오스크에 아무도 없었다. 모바일 예매가 활성화된 요즘, 현장 구매자는 많지 않다.
그림자처럼 길게 남은 그 한마디
여성분은 내가 방금 본 콘서트 영화를 보고자 했다. 나는 키오스크 화면을 터치하여 회차를 선택했다. 좋은 자리는 이미 나간 상태였다. 남은 좌석 중에서 그나마 나은 걸 고르고, 결제 화면으로 넘어갔다. 체크카드가 세 차례 전산 오류가 났다.
"현금 있어요. 신용카드는 없어요."
키오스크가 카드 전용이라고 하자, 여성분이 순간 당황해했다. 극장까지 와서 영화를 못 볼까 걱정하는 기색이었다. 그 사이 노부부가 다가와 자신들의 예매를 부탁했다. 두 분은 비어있는 다른 키오스크를 놔두고 뒤에 줄을 섰다.
현금 결제에 대한 안내가 얼른 보이지 않았다. 카운터에서 현금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나중에 알았다. 나는 내 카드로 일단 예매하고 현금을 받기로 했다. 앱에서 좌석 선택하고 카드 결제까지 1~2분이면 되었다. 키오스크에 예매 정보를 입력하여 종이 표를 발권했다. 관람 정보가 적힌 흰 종이가 출력되었다.
나는 다시 앱에서 포토 카드를 만들고 키오스크에 예매 정보를 넣어 카드를 뽑았다. 종이 티켓과 포토 카드를 쥐자, 여성분 얼굴이 환해졌다. 무사히 영화를 보게 되어 안도하는 표정이었다. 고맙다는 인사 끝에 노인이 혼잣말처럼 말했다.
"나도 요즘 세대로 태어날걸..."
마지막 말이 그림자처럼 길게 남았다. 자신은 사회에서 밀리고 소외되었다는 서글픔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문화생활을 원하고 돈도 있지만, 디지털 기기가 낯설어 도움을 청해야 하는 상황. 불과 십 년 전, 스마트폰 예매는 상상하지도 못했다. 십 년 후 예매 방식이 어떻게 변할지 아무도 모른다. 이십 년 후, 나는 혼자서 예매할 수 있을까.
우리도 노인으로 살게 된다
너무 빠른 기술 변화에 많은 노년층이 불편을 겪는다.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 방향은 인정하더라도 모두의 속도가 같은 순 없다. 기업이 디지털 기기로 운영비를 줄였다면, 절감 비용의 일부를 그 때문에 불편한 이들에게 환원해주면 좋겠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는 미래, 우리는 요즘 노인 세대보다 긴 시간을 노인으로 살게 된다. 노인의 문화생활에 대한 사회적 고민과 준비가 절실해 보인다.
나는 노부부의 예매를 시작했다. 마땅한 좌석이 없어 다다음 회차를 보는데, 네 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했다. 허비되는 시간이 너무 많아 내가 잠시 주저했다.
"괜찮아요. 기다리면 돼요."
노부부는 익숙한 듯 담담했다. 나는 종이 표를 발권해 건넸다. 노인의 뒷모습에 나의 미래가 겹쳐 보였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브런치와 블로그에 올릴 수 있습니다.
신수현기자
기사전문보기
https://omn.kr/23zi3
https://naver.me/xyj3tCQE
코로나19 기간에 극장을 가지 못해 갑갑했다. 문화생활에 대한 갈증이 커지던 중, 얼마 전 좋아하는 가수의 콘서트 영화를 개봉한다길래 냉큼 예매했다.
앱에서 미리 예매한 덕에 좋은 좌석에 앉았다. 영상이 천장까지 뻗칠 때면 너나없이 흥이 솟았다. 여러 사람과 어울려 한 장면에서 같이 웃고 박수치는 상황이 새삼 뭉클했다.
"우리 90세에도 보러 오자."
상영이 끝난 후, 언니가 다짐하듯이 말했다. 그러려면 건강해야 하니 운동부터 하자고 내가 말했다. 극장 로비의 카페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데, 70대로 보이는 여성이 다가왔다.
"저기요, 영화표 좀 사줄 수 있어요? 내가 기계 사용법을 몰라서 그래요."
거기 직원이 없느냐고 묻자, 없다고 했다. 카운터에 문의했더니 본인이 직접 예매해야 한다고 했단다. 그 직원이 자리를 비울 수 없는 모양이었다. 나는 로비로 나갔다. 서너 대의 키오스크에 아무도 없었다. 모바일 예매가 활성화된 요즘, 현장 구매자는 많지 않다.
그림자처럼 길게 남은 그 한마디
여성분은 내가 방금 본 콘서트 영화를 보고자 했다. 나는 키오스크 화면을 터치하여 회차를 선택했다. 좋은 자리는 이미 나간 상태였다. 남은 좌석 중에서 그나마 나은 걸 고르고, 결제 화면으로 넘어갔다. 체크카드가 세 차례 전산 오류가 났다.
"현금 있어요. 신용카드는 없어요."
키오스크가 카드 전용이라고 하자, 여성분이 순간 당황해했다. 극장까지 와서 영화를 못 볼까 걱정하는 기색이었다. 그 사이 노부부가 다가와 자신들의 예매를 부탁했다. 두 분은 비어있는 다른 키오스크를 놔두고 뒤에 줄을 섰다.
현금 결제에 대한 안내가 얼른 보이지 않았다. 카운터에서 현금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나중에 알았다. 나는 내 카드로 일단 예매하고 현금을 받기로 했다. 앱에서 좌석 선택하고 카드 결제까지 1~2분이면 되었다. 키오스크에 예매 정보를 입력하여 종이 표를 발권했다. 관람 정보가 적힌 흰 종이가 출력되었다.
나는 다시 앱에서 포토 카드를 만들고 키오스크에 예매 정보를 넣어 카드를 뽑았다. 종이 티켓과 포토 카드를 쥐자, 여성분 얼굴이 환해졌다. 무사히 영화를 보게 되어 안도하는 표정이었다. 고맙다는 인사 끝에 노인이 혼잣말처럼 말했다.
"나도 요즘 세대로 태어날걸..."
마지막 말이 그림자처럼 길게 남았다. 자신은 사회에서 밀리고 소외되었다는 서글픔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문화생활을 원하고 돈도 있지만, 디지털 기기가 낯설어 도움을 청해야 하는 상황. 불과 십 년 전, 스마트폰 예매는 상상하지도 못했다. 십 년 후 예매 방식이 어떻게 변할지 아무도 모른다. 이십 년 후, 나는 혼자서 예매할 수 있을까.
우리도 노인으로 살게 된다
너무 빠른 기술 변화에 많은 노년층이 불편을 겪는다.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 방향은 인정하더라도 모두의 속도가 같은 순 없다. 기업이 디지털 기기로 운영비를 줄였다면, 절감 비용의 일부를 그 때문에 불편한 이들에게 환원해주면 좋겠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는 미래, 우리는 요즘 노인 세대보다 긴 시간을 노인으로 살게 된다. 노인의 문화생활에 대한 사회적 고민과 준비가 절실해 보인다.
나는 노부부의 예매를 시작했다. 마땅한 좌석이 없어 다다음 회차를 보는데, 네 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했다. 허비되는 시간이 너무 많아 내가 잠시 주저했다.
"괜찮아요. 기다리면 돼요."
노부부는 익숙한 듯 담담했다. 나는 종이 표를 발권해 건넸다. 노인의 뒷모습에 나의 미래가 겹쳐 보였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브런치와 블로그에 올릴 수 있습니다.
신수현기자
기사전문보기
https://omn.kr/23zi3
https://naver.me/xyj3tCQE
댓글
여자들만 있는곳에 꾸역꾸역 남친 데려오는 여자 존많인거같은 달글
1bang
05-21
이종혁 만난 45인치 주장녀 ㄷ
1bang
05-21
